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개선을 위한 대토론회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1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고도화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중점 추진 과제로 공공연구의 개선과 선도형 기초연구의 확대, 기술사업화 증진 등을 강조했다. 주제에 대한 기조강연은 박상욱 과학기술수석비서관이 맡았으며, 윤석열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을 논의했다.
과학기술 수석비서관인 박상욱은 한국의 국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가 세계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으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약점들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섯 가지 중점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이 다섯 가지 과제는 ▲대학 및 출연연의 공공연구 업그레이드 ▲선도형 기초연구로의 질적 전환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강화 ▲기술사업화 시장 육성 ▲R&D 매니지먼트의 선진화이다.
첫 번째 과제인 공공연구 부문 업그레이드는 대학과 출연연구기관이 서로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임무 중심의 연구소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됐다. 장준연 자문회의 위원은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접근법을 소개하였다. 선도형 기초연구의 질적 전환에 대해서는 이주원 성균관대 교수가 연구 지원 체계를 단계별 맞춤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국가 사회적 필요에 부합하는 연구 분야 발굴을 강조했다.
또한 손석호 KISTEP 본부장은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연구자 네트워크를 글로벌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전환하여 해외 연구자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어 손수정 STEPI 선임연구위원은 기술사업화 시장이 저조한 이유로 정부 주도의 비효율적인 기술 이전과 민간 자본 유입 부족을 지적하였으며, 시장 원리를 도입하여 기술사업화 전문 회사를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정유한 단국대 교수는 R&D 매니지먼트에 대한 인식 전환이 중요하며, 연구성과 창출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행정가가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양희 자문회의 부의장은 현재 한국의 과학기술 체계를 개도국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지속적인 현장 소통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을 심층적으로 논의하는 자리로,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국가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