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연구기관 협력 강화로 과학기술 인재 양성한다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원장은 19일 서울에서 열린 국가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고도화 대토론회에서 대학과 연구기관 간의 협력을 강조하며, 인적 및 물적 자원의 공유를 통해 최정예 연구소를 육성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국가 R&D의 분절화가 큰 위험 요소라고 지적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벽 허물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장 부원장은 대학의 교육 역량과 출연연의 장비 및 연구 노하우를 결합해 부족한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연구자원을 공동 활용하여 연구소기업 창업과 기술 이전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그는 지역 대학과 출연연의 분원이 함께 협력해 R&D 역량을 제고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이주원 성균관대 교수는 기초연구의 질적 전환을 위해 문제의 본질에 도전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구 지원 체계를 연구자 주도의 맞춤형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제안하며, 시대적 요구에 맞는 연구 주제를 발굴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석호 KISTEP 본부장은 글로벌 R&D 협력의 확대와 국내 연구계의 개방형 혁신 생태계 전환을 강조하며, 해외 연구자도 연구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 주도의 기술 이전이 민간 자본 유입을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를 지적하며, 전문 기술사업화 회사의 육성과 보상 체계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정유한 단국대 교수는 연구 기획부터 성과 확산에 이르는 R&D 매니지먼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연구행정가의 전문성과 연구자 간의 협력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양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과거의 추격형 R&D 체계에서 선도형 혁신 생태계로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의 필요성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