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플라스틱 쓰레기, 태평양 대쓰레기섬에서 급증하는 이유는?
태평양의 대규모 쓰레기 섬인 GPGP(Great Pacific Garbage Patch)에서 한국산 플라스틱 쓰레기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일본과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으며, 최근 4년간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한국에서 유입된 쓰레기가 바다 한가운데까지 이르렀다는 점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오션클린업이라는 국제 비영리 환경단체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수거된 플라스틱 쓰레기 중 15%가 한국산이라고 한다. 이는 일본이 35%, 중국이 33%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인 것과 대조적이다. 더욱이 한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비율은 2019년 약 10%에서 최근 4년 사이에 5%포인트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일본과 중국의 증가세가 각각 1%포인트에 그친 것과 비교할 때 매우 가파른 상승세로 평가된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품목별 분석에 따르면, 가장 많은 비율은 생활용품에서 차지하며, 뒤이어 양식 장비와 어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 조사에서는 크기 5cm 이상인 단단한 플라스틱만 집계했으며, 작은 크기의 플라스틱이나 출처를 알 수 없는 어구를 포함하면 쓰레기의 양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오션클린업의 마티아스 에거 박사는 실제 수거된 쓰레기 중 상당수가 식별할 수 없는 파편이라고 언급했다.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쓰레기는 수많은 해양 생물이 이를 먹이로 오인하게 만들어 심각한 생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대기를 통해 비가 되고 해양 생물의 체내를 거쳐 우리의 식탁에 올라오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오는 25일 부산에서 열리는 정부 간 협상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상은 UN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기회로 여겨지며, 한국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 전문가들은 한국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에서 필요한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