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과 시진핑, 리마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와 대중국 정책 논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6일 페루 리마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이 회담은 양국 간의 최근 현안과 글로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의 군사적 행동과 관련하여 중국의 협조를 요청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이든은 북한이 러시아에 추가 병력을 파병하지 않도록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해 줄 것을 강조했다. 이는 북한과 러시아 간의 군사적 협력을 우려하는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시 주석은 북한의 군사적 동향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중국은 한반도에서의 충돌이나 불안정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미중 간의 전략적 완충 지대를 흔들 수 있는 행위를 자제하길 바라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발언은 북핵 문제의 복잡성을 나타내며, 중국이 한반도에서의 안정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해에 열린 것으로, 두 정상은 향후 미국의 대중국 정책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였다. 도널드 트럼프가 다시 집권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미국 언론들은 두 정상의 대화가 트럼프를 의식한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트럼프가 내세운 대중국 강경 정책은 차기 정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리마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는 다자무역 지지를 재확인하는 선언문이 발표되었다. 이 회의는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경계를 표명하며 마무리되었다. 시 주석은 보호무역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각국의 간 협력과 안정적인 관계 유지를 촉구하였다. 이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받는 발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담 후, 두 나라 간의 솔직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경쟁이 충돌로 비화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소통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정상 간 외교 관계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상 회담이 서로 간의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