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 출산 인식 변화, 청년층 42.8% 긍정 반응 증가
최근 20대 청년층 사이에서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20세에서 29세 사이의 응답자 중 42.8%가 비혼 출산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이는 2014년의 30.3%에 비해 12.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비혼 출산에 반대하는 의견 또한 감소하여, 2014년 34.9%에서 올해 22.2%로 줄어들었다.
남성과 여성 간의 의견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20대 남성의 43.1%와 여성의 42.4%가 결혼 없이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전적으로 동의하는 비율은 남성 12.6%, 여성 15.9%로 여성 쪽이 더 높았다. 반면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하거나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4년의 51.2%에서 올해 39.7%로 감소하였다.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으로는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의 대부분 출산 및 양육 지원 정책은 결혼한 부부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비혼 출산자들은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정부 역시 비혼 출산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실제 출산율 통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혼인 외 출생아 수는 1만900명으로 전체 출생아의 4.7%를 차지하며,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수치이다. 사회적으로는 결혼 신고를 하지 않고 부부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동거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비혼 출산에 대한 청년층의 인식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혼 출산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책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비혼 출산의 경향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포용적인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