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폐자원으로 만든 독창적 전기 SUV 'EV3 스터디카' 공개
기아는 폐자원과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개발한 ‘EV3 스터디카’를 17일 공개했다. 이 차량은 기아가 환경 문제에 기여하기 위해 2년간 연구한 결과물로, 세상에 단 하나뿐인 모델이다. EV3 스터디카는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주요 부품 69개를 재활용 플라스틱과 바이오 소재로 대체했다.
이 차량의 구성 요소들에는 버려진 플라스틱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범퍼, 프렁크, 도어 트림 등으로 재활용되었다. 차량의 내장재에는 비식용 천연 소재가 사용되었고, 예를 들어, 사과 껍질로 제조된 '애플 스킨'이 스티어링 휠과 콘솔에 적용되었다. 또한, 소규모 버섯 농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버섯 폐배지를 이용한 ‘버섯 폐배지 기반 레더’가 내부 무선 충전 패드에 사용되었다. 차체 외관의 일부에는 자연유래 천연 섬유와 바이오 폴리머로 만들어진 복합재가 활용되었다.
기아의 이러한 연구는 유럽 자동차 시장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규제에 준수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평가된다. 유럽연합(EU)은 2030년부터 신차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25%를 재활용 소재로, 그 중 25%는 폐자동차에서 회수된 자원으로 의무화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기아 측은 "EV3 스터디카는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을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연구한 결과물"이라며, 앞으로도 차량의 주요 소재에서 친환경성을 확보하기 위해 저탄소 및 재활용 소재 기술의 연구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회사가 환경 지속 가능성을 의식하고 대응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기아의 이러한 접근이 차량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환경 문제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자원을 재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가능성이 있으며, 자동차 시장의 전반적인 친환경 트렌드에도 부합하는 방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