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러시아 전선 참전…한반도 긴장 고조
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는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러시아의 보급품을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는 상황을 포착했다고 전했습니다. 국가정보원은 이들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되어 현지의 공수여단 및 해병대에 배속되었으며, 일부는 전투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정보는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여야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의해 공유되었습니다.
국정원은 북한군 병사 약 1만1천 명이 러시아 동북부에서 적응훈련을 마친 뒤, 10월 하순경 쿠르스크 전선으로 이동 배치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들 병사들은 현재 공수여단과 해병대에 배속되어 전술 훈련과 드론 대응 훈련을 받고 있으며, 일부는 실제 전투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군이 최전선에서 전투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과 관련되어 있으며, 사상자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국정원은 이와 관련된 작전 수행 상황과 피해 규모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군의 투항, 포로 및 사상자 발생에 대한 일부 언론 보도가 사실과 상충된다는 점도 언급하며, 정확한 상황 파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지난 4일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러시아를 방문하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면담한 것과 관련하여, 국정원은 이 회담이 단순한 의전용이 아닐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들은 상당히 중요하고 민감한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한반도 및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은 국가 간 군사적 협력의 새로운 단계를 나타내며,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복잡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향후 무기나 장비, 기술의 수급이 이루어질 경우, 이로 인해 지역 및 글로벌 안보 환경이 심각하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