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산업의 미래, 정부 정책과 민간 의견의 조화 필요성 강조
최지웅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KT클라우드 대표)은 19일, 국가정보원이 추진 중인 다층보안체계(MLS) 전환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공급자 관점이 아닌 수요자의 시각에서 정책을 검토해야 하며, 이를 위해 클라우드와 IT 업계의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MLS는 국가 및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기밀(C), 민감(S), 공개(O)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국정원은 내년 초로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 기준과 보안 가이드를 마련 중이다.
최 회장은 정부의 클라우드 보안 인증(CASP)과 MLS의 기술적 접근 방식 차이를 언급하며, 정책이 명확해지기 전까지 공공 클라우드 사업들이 정체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한, MLS 도입 이후 발생할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필요로 하고, 클라우드 업계의 의견 반영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클라우드 업계는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 최 회장은 공공 수요가 클라우드 산업 성장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예산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수요자들의 클라우드 전환 의지는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단기 교육 지원보다 기업들의 온보딩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협회는 AI 시대에서 클라우드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민간 퍼블릭 클라우드를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엔비디아가 제기한 AI 워크로드의 컨테이너 기반 처리 필요성을 언급하며, 국내에서 관련 전문인력과 서비스 모델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부 인프라 기반 민관협력이 현재 공공부문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클라우드 확장에 제한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와의 경쟁에서 결국 품질로 승부해야 함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국내 클라우드 산업 발전을 위한 선순환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현재 국내 인프라 구조가 생태계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