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와 구글, 양자 컴퓨팅 혁신을 위한 협력 강화
미국의 엔비디아가 구글의 양자 컴퓨팅 프로세서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양사는 18일 성명을 통해 구글의 양자 AI 사업부가 엔비디아의 Eos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양자 컴퓨팅 구성 요소의 설계 속도를 향상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슈퍼컴퓨터는 양자 프로세서 작동에 필요한 물리학을 시뮬레이션하여 구글의 양자 컴퓨팅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자 컴퓨팅은 양자역학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의 반도체 기술보다 훨씬 높은 처리 속도를 지향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현재 초기 단계에 있으며, 여러 기업들이 양자 컴퓨팅의 발전을 주장하더라도 대규모 상업용 프로젝트가 준비되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언급했다. 엔비디아는 자사의 기술이 구글이 직면한 어려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양자 프로세서가 발전할수록 실제 정보와 간섭(노이즈)을 구분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구글의 가이프레 비달 연구 과학자는 상업적으로 유용한 양자 컴퓨터의 개발은 노이즈를 줄이면서 양자 하드웨어를 확장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고 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AI 가속 칩 기반의 대규모 컴퓨터를 구글에 제공하여 양자 시스템의 노이즈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이 슈퍼컴퓨터는 양자 시스템 구성 요소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양자 칩이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극저온으로 냉각되어야 할 필요성을 다룬다. 이러한 과정은 이전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엔비디아는 자사의 시스템을 통해 과거 일주일 소요되던 결과를 몇 분 만에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구글의 연구 결과는 이번 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국제 컨퍼런스 ‘슈퍼컴퓨팅 2024(SC24)’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이와 같은 협력은 양자 컴퓨팅 기술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 컴퓨팅은 정보 기술의 미래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그 가능성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