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5대 전략 발표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1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국가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고도화 대토론회'에서 국가 과학기술 생태계 혁신을 위한 5대 전략을 발표했다. 박 수석은 현재 한국의 혁신 생태계가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약점들이 존재한다고 언급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그가 제안한 5대 추진 과제에는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고도화, 선도형 기초연구로의 질적 전환,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 기술 사업화 시장 육성 및 R&D 매니지먼트의 선진화가 포함된다.
대학과 출연연구기관의 협력 문제에 대해 장준연 자문회의 위원은 공공 R&D의 두 축인 이들 기관이 자원을 상호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학과 출연연 간 과감한 벽허물기' 전략을 제안했다. 이는 연구 인프라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가 연구소 자체의 임무 중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주원 성균관대 교수는 '선도형 기초연구로의 질적 전환'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하며, 연구자들이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의 기초연구 지원 시스템을 연구 주제와 기술의 성숙도에 따라 차등 지원하는 '연구 성장단계 맞춤형 지원체계'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연구자 주도형 과제 기획 방식을 통해 국가 사회적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이다.
또한 손석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본부장은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내 연구계가 글로벌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외국 연구자와 대화를 활발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호라이즌 유럽 가입을 계기로 글로벌 R&D 협력의 외연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연구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기술사업화 시장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기술사업화 저조의 원인을 지적하며,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기술 이전 방식을 개선하고 민간 자본이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를 통해 독립적인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유한 단국대 교수는 R&D 매니지먼트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연구성과 창출을 위해 연구기획부터 성과 확산까지의 전반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행정가와 연구자 간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여 연구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양희 자문회의 부의장은 이러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앞으로 연구 현장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