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생태계 고도화, 한국 과학기술의 미래를 열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공연구 업그레이드 및 선도형 기초연구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19일 서울 종로구의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고도화 대토론회'에서 그는 현재 우리나라의 혁신 생태계가 세계 최상위권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몇 가지 약점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정부 후반기에 반드시 극복해야 할 문제로 △대학 및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공공연구 부문 업그레이드 △선도형 기초 연구로의 질적 전환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 △기술사업화 시장 육성 △연구개발(R&D) 관리 선진화를 다섯 가지 중점 과제로 설정했다. 박 수석은 초대 과학기술수석으로 부임한 이후 주요 정책 성과로 AI-반도체, 첨단 바이오, 양자 기술과 같은 3대 게임체인저 기술 및 R&D 예비타당성 조사 폐지 등을 소개했다.
이번 대토론회에서는 다섯 가지 중점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논의되었다. 전문가들이 제안한 내용에는 대학과 출연연 간의 벽 허물기, 연구 성장단계에 맞춘 지원 체계 구축, 해외 연구자를 포함한 글로벌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를 육성하고 사업화 기여자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최양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한국이 과거의 추격형 R&D 체계를 벗어나 선도형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연구 현장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주제는 과학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전체 경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선도형 혁신 생태계로의 전환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개발 정책이 어떻게 구체화될지에 따라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및 산업 구조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번 대토론회를 통해 제시된 의견들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경우, 한국은 글로벌 과학기술 시장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계 기관들은 제안된 방안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