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절식, 지방간 개선의 새로운 희망!
삼시세끼 식사가 아닌 간헐적 절식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병으로,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질환은 국내 성인에서 약 30%의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중앙대학교병원 이한아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최근 간헐적 칼로리 제한(ICR)과 표준식단(SOC)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이 있는 비당뇨병 환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관찰하였다. 한 그룹은 5:2 간헐적 칼로리 제한을 적용받았고, 다른 그룹은 표준식단을 따랐다. 그 결과, 간헐적 칼로리 제한을 시행한 그룹에서는 간 내 지방량이 감소한 환자의 비율이 72.2%로 나타났으며, 표준식단 그룹에서는 44.4%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 환자에서는 지방간 감소 효과가 5.5%로 나타난 반면, 비만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2.9%로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이한아 교수는 비만한 환자들에게 간헐적 칼로리 제한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하며, 비약물적 치료 방법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는 "지방간이 흔하다 하더라도 이를 방치하는 것은 위험하며, 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조기 예방을 위한 식단 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는 지방간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 저널 '임상 소화기 내과학 및 간장학 학회지'에 발표되었으며, 이름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이 있는 비 당뇨병 환자에서 간헐적 칼로리 제한 효과'이다. 이 연구는 비만 환자들에게 간헐적 식사가 지방간 개선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간헐적 절식은 지방간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식이요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될 수 있다. 비약물적인 치료 접근 방식이 또한 의료비 절감 및 환자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