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 시대의 검색 시장에서 점유율 급락!
2024년 11월 18일 발표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TTP)의 'ICT Brief' 2024-39호에 따르면, 네이버의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이 2015년 78.06%에서 올해 57.32%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공지능(AI) 검색 기술의 발전과 대중화의 영향으로, 향후 검색 시장의 변화가 예상된다.
보고서에 인용된 웹로그 분석 사이트 '인터넷 트렌드'의 데이터에 의하면 2015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검색 시장 점유율은 네이버가 78.06%, 다음 11.74%, 구글 7.31%, 줌 2.22%, MS빙 0.4%였으며 기타가 0.22%에 달했다. 반면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점유율은 네이버가 57.32%, 구글 33.9%, 다음 3.86%, MS빙 2.92%, 기타 1.04%, 줌 0.17%로 집계되었다. 특히, 9년간 네이버의 점유율은 20.74%포인트 감소한 반면, 구글은 26.59%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챗GPT와 같은 AI 기반 서비스가 사람들의 질문에 대한 다양한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구글 검색 서비스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전망과 관련이 있다. 최근에는 검색에 특화된 AI 서비스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검색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검색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후 탐색 과정을 거치는 방식이지만, AI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하여 요약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
ITTP 보고서에 따르면, 가트너는 생성형 AI 기술의 도입으로 온라인 검색엔진 사용 횟수가 현재 수준보다 25%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이는 생성형 AI 솔루션이 기존 검색엔진의 대체재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기업들도 점차 검색엔진 대신 생성형 AI 솔루션을 마케팅 수단으로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AI 검색 서비스들은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변을 요약하여 제공하고, 출처를 링크로 명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경험을 향상시킨다. 마이크로소프트 '빙', 오픈AI의 '챗GPT 서치', 퍼플렉시티, 구글의 'AI 오버뷰'와 같은 다양한 AI 기반 검색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Cue:', 뤼튼, 라이너의 검색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AI 검색 서비스의 발전은 검색 시장의 경쟁 양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