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망 확충,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다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은 18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열린 '전력망 확충 역량결집 전사 다짐대회'에서 전력망의 적기 확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회는 한국전력이 송전망 구축에 있어 모든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약 200명의 임직원이 참석하였다. 김 사장은 전력망 확충이 한국전력의 본연의 업무인 안정적 전력 공급의 핵심이라고 설명하며,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 문제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전력망의 효과적인 확충은 반도체 및 인공지능과 같은 미래 산업에 필수적이며, 이에 따른 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약 56조 5,000억 원의 송전망 확충 비용이 필요하고, 2036년까지 송전선로를 60%, 변전소를 40% 늘려야 한다. 그러나 지자체 및 주민의 반발로 인해 송변전망 건설이 지연되는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10차 전력수급기본 계획에서는 송변전망 건설 31건 중 84%인 26건이 준공이 지연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인허가 문제, 민원, 시공 여건 등이 주요 지연 사유로 지적되었으며, 최근 동서울변전소 증설 공사가 지역 주민의 전자파 우려로 인해 불허된 사례 또한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송전망 확충을 위한 엄중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김 사장은 전력망 적기 확충을 위한 5대 핵심 어젠다를 제시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송전망 구축을 지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선제적 전력망 확충, 전담 조직 신설, 전력계통 정책 컨트롤타워 신설, 이해 기반 확대, 그리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보상 제도 마련 등이 주요 아젠다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대책들은 전력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첨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간주된다.
결국, 한국전력은 주민의 수용성을 높이고 사업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상황이다. 주민과의 소통 및 민원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기업이 아니면 해결할 수 없는 과제로 보인다. 전력망 확충이 국가의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할 때, 이러한 문제 해결은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