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을 완주한 세계 최초의 로봇, 라이보2의 혁신적 도전
최근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한 로봇이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카이스트의 황보제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4족 보행 로봇 '라이보2'는 42.195km를 4시간 19분 52초에 주파하며 마라톤을 완주한 세계 최초의 로봇이 되었습니다. 라이보2는 러너들 사이에서 신기한 존재로 여겨졌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다양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마라톤은 높은 기술적 요구가 있는 종목으로, 로봇이 이를 완주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와 관련된 여러 과제가 필요합니다. 배터리의 용량이 클수록 더 긴 거리를 주행할 수 있지만, 무게가 증가하면 달리기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습니다. 따라서 라이보2는 최적의 배터리 설계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지금까지 공개된 로봇들은 최대 20km 정도의 거리를 주행하는 데 그쳤으나, 라이보2는 40km 이상을 한 번의 충전으로 달릴 수 있었습니다.
보행 로봇인 라이보2는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군용 로봇도 실전 배치가 진행 중이며, 현대차 계열의 보스턴다이내믹스가 제작한 로봇개가 실제 경호 임무에 투입된 사례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들은 재난 상황이나 산악 지역에서의 순찰, 물자 배달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강점을 보입니다.
로봇 분야는 현재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기술이 결합되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라이보2와 같은 고성능 로봇의 등장은 미래의 여러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봇의 진화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서 사회 전반의 구조와 기능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라이보2의 성공적인 마라톤 완주는 로봇기술이 인류의 다양한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평가됩니다. 앞으로의 연구와 개발이 이끌어낼 혁신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