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통일 정책의 새로운 전환점 제시
통일부는 윤석열 정부의 통일 정책과 관련된 성과 및 향후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 내용은 2023년 7월 28일 발표된 것으로, 통일부는 미국의 새 행정부와 협력하여 북한의 변화와 비핵화를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통일부는 정부 후반기에 '통일업무 글로벌화'와 '통일 인프라 지역 균형'의 시대를 열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정부는 북한 당국에 '대화협의체' 제안에 대한 응답을 촉구하며, '남북 적대적 두 국가'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8·15 통일 독트린'의 이행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이를 통해 정치적 상황에 관계없이 인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광복 80년'을 기념해 국민의 통일 가치관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통일부는 미래 세대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통일 교육을 통해 통일 역량을 키우고, 통일 인프라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국제 한반도 포럼'을 '통일 다보스 포럼'으로 발전시키고, '북한인권 국제회의'를 통해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다양한 계획을 통해 통일부는 전반기의 성과를 계승하고 나아가 통일 분야의 성과를 더욱 확대해 나갈 채비를 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전반기의 주요 통일 정책으로는 8·15 통일 독트린의 발표 및 이행, 북한인권 증진 및 인도적 문제 해결 노력,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강화 등이 있다. 또한, 구체적인 성과로는 국내외 통일 기반 조성, 20여 개국의 8·15 독트린 지지 확보, '한미일 북한인권 3자 회의' 개최 등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통일부의 목적인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