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미중 갈등 속 한국 외교 전략 재조명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브라질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미중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윤 정부가 미국 중심의 외교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이 예상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은 외교 정책의 변화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통령은 미중 양국 간의 관계가 국제 사회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며, 한국은 양국과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경쟁과 협력이 동시에 존재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경쟁은 국제 규범을 존중하는 정당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주장은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이러한 발언이 외교 기조의 전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중 관계가 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윤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리마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 분야 협상에 속도를 내기로 합의했으며, 중국의 한국인 관광객 비자 면제 조치도 발표됐다.
전문가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경제와 안보 분야에서도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미중 간의 외교에서 선택이 아닌 설득 대상임을 강조하며, 한국이 현재의 대미 관계를 통해 중국과의 관계 악화를 방지하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익명의 외교안보 전문가는 중국과의 관계를 레버리지로 활용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한국과 중국 모두 해당 지역의 복잡한 국제 관계에서 관계 개선의 동기가 커졌다고 평가했다.
결국, 윤석열 정부의 외교 기조가 변화하고 있는 것은 미중 간의 패권 경쟁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한국이 자신의 외교적 입지를 다지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한국 정부가 앞으로 경제와 안보 분야에서 엄청난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과제를 함께 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