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혁신, 맞춤형 서비스로 국민 편익 증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내년부터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가 시행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만성질환 관리와 통신 요금 최적화 등 개인정보 기반으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국민의 편익을 증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원하는 대로 이동시키고 활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저희가 추진할 '2024년 마이데이터 선도서비스 지원 사업'에서는 5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의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선정된 과제들은 내년 3월 시행될 예정으로, 오래 기다려온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조속히 제공할 계획이다.
선정된 5개 과제 중에서는 의료 분야가 3개로, 가톨릭중앙의료원 컨소시엄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서비스 개발을 맡고 있다. 이 서비스는 만성질환의 위험도를 분석하여 예방법 및 맞춤형 관리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추가로, 룰루메딕은 국내 의료 이력을 해외 체류 시에 번역해 제공하는 서비스 기획에 참여하며, 카카오헬스케어는 약물 관리 및 진료 연속성을 개선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통신업종에서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가 통신 요금 정보 제공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이는 실제 통신 이용량 패턴을 바탕으로 개인에게 최적의 요금제를 추천하는 서비스다. 이외에도 NICE평가정보 컨소시엄이 운영하는 ‘마이데이터로 떠나는 여행지원 서비스’ 역시 여행 관련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은 이번 마이데이터 선도 서비스가 국민들이 더 나은 이해와 체험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히며, 마이데이터 활용의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임을 언급했다. 이러한 변화는 마이데이터 선도 서비스가 시장에서 어떤 새로운 형태로 자리잡게 될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