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네이버의 검색 시장 점유율 급감과 그 배경 분석
최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의 점유율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 네이버의 시장 점유율은 57.32%로 1위를 기록했지만, 2015년의 78.06%와 비교하면 약 20%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구글은 33.9%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하였다. 이 자료는 국내 검색 시장의 변화와 함께 AI 기반 검색 기술의 부상을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는 2022년 챗GPT의 등장이 검색 시장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음을 지적했다. AI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와 맥락을 이해하여 더 정확하고 종합적인 답변을 제공하며, 이는 단순 키워드 검색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AI는 복잡한 문장과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발전이 검색 시장에 미친 영향을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2월 AI 챗봇 '빙'에 오픈AI의 초거대 언어모델을 적용하여 검색 엔진 '뉴 빙'을 출시했다. 이 결과 '빙'은 지난해 12월 검색 점유율 10.53%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덧붙여,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AI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검색 엔진 사용 횟수가 25%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오픈AI와 구글은 새로운 검색 기능을 출시하며 경쟁에 나섰다. 오픈AI는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을 요약하고 비교하는 '챗GPT 서치'를 개발하였고, 구글은 생성형 AI '제미나이'를 도입하여 검색 결과의 우선 노출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보고서는 네이버, 뤼튼, 라이너, 솔트룩스 등 여러 기업들이 AI 검색 엔진 시장에서 저마다의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앞으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네이버는 현재 AI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의 PC 버전에 대한 시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이버가 앞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가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