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북한 도발에 단호 대응 - 통일 계획의 새 전환점 마련
통일부는 18일 윤석열 정부의 통일 분야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김수경 통일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새로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한국과 미국 간의 긴밀한 대북 정책 협력이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윤석열 정부의 출범 배경을 설명하면서, 하노이 노딜 이후 남북관계가 지속적으로 경색되고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도발이 증가했음을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복잡한 정세 속에서도 정부가 통일이라는 최종 목표를 향해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관계'가 공식화된 현재 상황에서는 앞으로의 정세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인정했다.
향후 계획에 대해 김 차관은 정부 후반기에 '통일업무 글로벌화'와 '통일 인프라 지역 균형'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미국의 새 행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북한 비핵화와 대화의 문을 열어두는 데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대화협의체 제안에 대해 북한 당국이 호응할 것을 촉구했다.
통일부는 통일 역량 강화를 위해 AI 기반의 첨단형 통일 교육 사업과 북한자유인권펀드 조성을 포함한 북한 인권 정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균형 발전에 따라 통일 인프라를 확대하고, 국제 사회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통일 프로젝트'도 구체화할 예정이다.
한편,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이 남북 연결 도로와 철도를 폭파한 사건과 관련하여 차관 상환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들은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보여주기식' 대화를 지양하고, 실무 단계에서 협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합의를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경의선과 동해선의 연결 사업에는 상당한 재정이 투입되었으며, 향후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