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인천 강화서 또다시 발생…1만5000마리 살처분 결정
18일 오후 인천 강화군의 한 육용종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H5형 조류 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됐다. 이 농장에서 사육 중이던 닭 200마리가 폐사하였으며, 농림축산검역본부의 검사 결과 이 질병은 전염성이 강하고 폐사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농장은 전날 오전 9시쯤 신고를 받았으며, 폐사한 닭의 검체에서 AI 항원이 검출되어 조류 인플루엔자 감염이 확진되었다. 이번 사건은 올 겨울철 들어 세 번째 고병원성 AI 발생 사례로, 지난달 29일 강원 동해시와 8일 충북 음성군에서도 각각 발생한 바 있다.
인천시는 이러한 고병원성 AI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해당 농장에서 사육 중인 닭 1만5000마리를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하였다. 또한, 이번 AI가 고병원성으로 확인됨에 따라 농장 주변 500미터 이내에 위치한 한 농장의 닭 1만7000마리도 추가로 살처분할 예정이다.
더불어 인천시는 AI 발생 농장에서 1~1.5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또 다른 농장에 대해서는 이동 제한 명령을 내리고, 해당 농장의 닭 1만5천 마리에 대한 정밀 검사를 계획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강화지역 축산시설에 대한 방역과 소독을 강화하고 있으며, AI 예방을 위해 가금 농가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염병 전문가들은 조류 인플루엔자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조기 발견 및 적극적인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고병원성 AI는 가금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금류 산업에 종사하는 농가들은 지속적인 감시와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의 철저한 방역 상태 유지와 함께 농가의 협조가 맞물려야 효과적인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