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노조 준법투쟁 돌입, 열차 운행 차질 우려
18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한국철도노동조합 호남본부가 준법투쟁에 돌입하면서 광주·전남·전북 지역 내 일부 열차 운행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약 2600명의 조합원 중 필수 근무 인력을 제외한 964명이 참여하며, 이중 기관차 운전사 384명, 열차 객실 승무원 144명, 차량 정비원 436명이 포함된다. 이들은 시간외 및 휴일 근무를 거부하고, 각종 작업 시간을 내부 규정에 따라 엄격히 준수하는 방식으로 투쟁을 벌이고 있다.
철도노조는 인력 부족, 근무 체계 개선, 임금 인상, 임금 체불 문제 해결, 공정 승진 제도 도입, 외주화 인력 감축 중단 등의 요구를 하고 있다. 이들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노조는 다음 달부터 전국 단위 총파업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한국철도공사 호남본부는 준법투쟁으로 인해 지연이나 연착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으나, 오후 시간대에 일부 열차의 연착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노조 측은 철도공사의 인력 부족 문제를 지적하며, 연말 개통 예정인 여러 노선에서도 필요한 인력이 충족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개통된 서해선을 비롯한 9개 노선에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노조는 외주화로 인해 자회사로 업무가 넘겨지고, 자회사가 민간에 위탁되는 상황을 문제 삼고 있다.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은 19일 광주송정역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이후 25일부터는 전국 각 지역에서 야간총회를 개최하여 무기한 총파업을 준비할 방침이다. 이러한 상황은 여러 측면에서 철도 운영의 안정성과 노조의 노동권을 놓고 큰 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철도 노조의 준법 투쟁과 관련하여 안전과 서비스 품질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철도 운행에 필요한 인력이 부족할 경우, 근로자의 노동 환경과 승객의 안전이 모두 jeopardized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와 철도공사는 노조와의 대화를 통해 인력 충원과 근무 조건 개선을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