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력과 당뇨병: 노인 건강 관리의 새로운 방향 제시
65세 이상 노인에서 손의 힘을 나타내는 악력이 약할수록 당뇨병의 발병 확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의 손여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노인의 건강 관리에서 근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상대 악력을 활용한 새로운 분석 방식이 만성 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
연구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KLoSA)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뇨병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2만2016명을 대상으로 상대 악력과 당뇨병 발생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상대 악력 지표는 근력과 체질량지수(BMI)를 함께 고려하여 계산되며, 이는 절대 악력을 BMI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연구 결과, 상대 악력이 높은 노인 그룹에서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하위 수준 그룹과 비교했을 때 중위 수준 그룹은 오즈비(OR)가 0.87배, 가장 높은 그룹은 0.82배로 감소했다. 여성 노인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나, 중위 수준 그룹은 오즈비가 0.82배, 가장 높은 그룹은 0.79배로 감소했다. 이는 근력 증진이 당뇨병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절대 악력에 집중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체질량을 고려한 상대 악력을 사용함으로써 근력과 대사 질환 간의 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항성 운동과 같은 근력 강화 운동을 통해 노인의 체질량 지수를 개선하면서 당뇨병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손 교수는 상대 악력과 당뇨병 간의 관련성을 조사함으로써 건강 관리 전문가들이 노인에 맞춤형 치료 계획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러한 연구 findings는 궁극적으로 노인 인구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 건강 관리에서 근력 평가 및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