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넘는 로봇, '라이보2'가 마라톤 풀코스 완주에 성공하다!
KAIST 기계공학과의 연구팀이 개발한 4족 보행로봇 ‘라이보2’가 최근 제22회 상주 곶감 마라톤 대회에서 42.195km의 풀코스를 4시간 19분 52초에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국내 로봇이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된다. 라이보2는 기존의 사족 보행 로봇이 20km의 거리에서 머물렀던 것에 비해 두 배 이상의 거리인 43km를 1회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주 곶감 마라톤은 고도 변화가 있는 도전적인 경로가 특징으로, 14km와 28km 지점에서 두 차례 언덕을 오르는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아마추어 마라토너들에게도 난이도가 높은 코스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보행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지형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라이심(Raisim)' 환경에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행 제어기를 개발했다.
라이보2의 기술적 진보는 단순한 알고리즘 개선을 넘어서, 기구 설계와 전장 설계,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까지 모든 요소를 자체 개발하여 효율을 극대화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관절 메커니즘에서의 힘 투명성을 통해 내리막길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며 언덕을 오르는 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충인 KAIST 박사과정은 라이보2의 성능이 도심 환경에서도 배송이나 순찰 등 다양한 서비스 수행에 적합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향후 자율주행 기능을 추가해 산악 및 재난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황보제민 교수는 이번 성과가 KAIST에서 개발한 기술이 다른 로봇들보다 3배 이상의 적정 거리를 자랑하며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로봇 기술의 발전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재난 구조 작업이나 물류 배송 등에서 로봇의 효과적인 사용이 기대되며, 이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보행 로봇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자율주행 로봇의 도입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