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전구체 제조 기술로 국가핵심기술 지정…경영권 분쟁 심화
고려아연이 보유한 전구체 제조 기술이 최근 정부로부터 '국가핵심기술'로 인정받았다. 이 기술은 이차전지 양극재의 주요 원료 중 하나로, 비철금속 제련업체인 고려아연이 최근 신사업으로 확대하고 있는 분야이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된 경우, 관련 기업은 경제안보를 이유로 외국 기업에 인수될 때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로 인해 현재 진행 중인 MBK·영풍 연합과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 간의 경영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전문위원회 심의를 통해 고려아연이 신청한 특정 전구체 제조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함을 통보하였다. 국가핵심기술은 정부가 해외 유출에 대한 우려로 특별 관리하는 기술로, 반도체 및 조선업 등 다양한 전략산업 기술들이 이에 포함된다. 고려아연은 지난 9월 24일, 경영권 분쟁이 심화될 때 산업부에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인정해달라고 신청하였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면 고려아연은 경영권 방어 시 '국가 기간산업 보호'의 명분을 강화할 수 있으며, MBK이 재매각을 고려할 때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고려아연은 세계 1위 비철금속 제련 회사로, 전자,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등의 산업에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재 고려아연의 시가총액은 약 20조원에 달하며, 이 기업을 재매각하려는 경우 국내에서 충분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매수자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MBK 등이 해외 기업에 재매각을 시도할 경우, 정부의 인수합병 승인을 받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MBK 측은 경영권 분쟁 초기부터 비철금속 제련업이 국가기간산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해외 기업에 매각할 가능성을 부인해왔다. 이들은 지난 9월 기자회견에서도 향후 국내 대기업에 매각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고려아연과 MBK 간의 경영권 분쟁을 더욱 고착화하고 있으며, 향후 이들의 결정이 업계 전반에 미칠 영향을 주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