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대규모 공습, 우크라이나 전역 순환 단전으로 에너지 위기 격화
우크라이나가 겨울철을 맞이하기 전에 러시아의 대규모 공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전력 시설들로 인해 전국적으로 순환 단전에 들어갔다. 17일 우크라이나 국영 전력회사 우크레네르고는 성명을 통해 전력 공급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고 발표하고, 18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에 임시 정전이 발생할 것이라고 알렸다. 현재 전력망의 손상 정도가 크고 신속한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므로, 장기적인 정전 사태가 우려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가 약 120발의 미사일과 90기의 드론을 사용해 공격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격의 주 목표가 우크라이나 전역의 에너지 시설이었다고 강조하며, 이로 인해 에너지 시설이 손상되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 장관 헤르만 갈루셴코도 유사한 내용을 전하며 대규모 공격이 발생했다고 확인했다.
우크라이나 공군은 이날 공격에서 210개의 공중 표적 중 144개를 격추했다고 보고했다. 공격은 수도 키이우를 포함해 전역에서 발생했으며, 민간인 피해 또한 확인됐다. 러시아 국방부는 군사 산업 단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인프라를 겨냥했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민간인이 사망하는 등 중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남부 오데사 지역에서는 전력 시설이 파괴되어 2명이 사망하였고, 미콜라이우에서는 드론 공격으로 여성 2명과 어린이 2명을 포함하여 총 7명이 부상을 입었다. 동부 자포리자와 다른 지역에서도 폭격이 있었다고 전해졌으며,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는 큰 피해를 입지 않았으나 가동 중인 원자로에서 전력 생산이 제한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이 공습은 울크라이나의 에너지 기반 시설을 지속적으로 파괴하려는 러시아의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는 전력과 난방 공급을 방해하여 우크라이나 국민의 정신적, 육체적 위축을 목표로 하는 심리전으로 해석된다. 러시아의 공격 후, NATO 동맹국인 폴란드는 자국 내 전투기를 출격시켜 대비 태세를 갖추었지만,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 개입하는 것이 아닌 잠재적 위협에 대한 예방적 대응으로 설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