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광복군의 상징, 오희옥 애국지사 별세
여성 광복군으로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한 오희옥 애국지사가 17일 오후 세상을 떠났다. 그의 나이는 98세였다. 국가보훈부는 오 지사가 서울중앙보훈병원에서 숙환으로 치료받다가 이날 오후 3시 8분경 병세가 악화되어 임종을 맞았다고 밝혔다. 그의 장례식은 서울중앙보훈병원에 마련된 장례식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오희옥 지사는 독립유공자인 오광선과 정현숙의 자녀로, 1939년 4월 중국 유주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하였다. 이후 1941년 1월 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기 전까지 독립군 모집과 일본군 동향 파악, 정보 수집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또한 연극과 무용을 통해 사병들의 사기를 고취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그는 이후 한국독립당의 일원으로도 활동하였다.
그의 독립 운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는 1990년에 오 지사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최근 정부는 생존 애국지사들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별세 시 사회장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오희옥 지사는 20일 발인 이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사회장 영결식이 거행될 예정이다. 이후 그는 국립서울현충원 충혼당에 안장된다.
오 지사의 별세로 인해 현재 남아 있는 생존 애국지사는 국내에서 4명, 국외에서 1명 총 5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이들의 역사가 점차 종료되고 있다는 사실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여성 광복군의 기여는 대한민국 독립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희옥 지사의 삶은 이들의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별세는 독립운동의 역사를 기억하고 기리는 계기를 제공하며, 향후 생존 애국지사에 대한 보존과 추모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