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포기 대란, 배추값 폭락에도 기타 채소 가격 여전히 '고공행진'
현재 배추 가격이 한 달 사이에 60% 이상 하락했지만, 김장에 필요한 다른 채소들의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장철을 맞이하여 많은 소비자들이 김장을 포기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유통업계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의 한 농수산물 시장에서는 최근 배추 가격이 만 원에 가까웠던 시점에서 현재 포기당 3천 원대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20% 이상의 가격 상승이 여전히 존재해 소비자들은 가격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한 소비자는 “가격이 조금씩 하락하는 것을 느끼고 있지만, 여전히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이외의 김장용 채소인 무, 쪽파, 미나리 등은 가격이 조금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난해 대비 20%에서 70% 이상 비싼 상황이다. 한 소비자는 무의 가격이 처음 구입할 때 9백 원에서 천 원이었지만 현재 3천5백 원에서 4천 원으로 올라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는 '김포족'이라 불리는 김장을 포기한 소비자를 포함하여 김장을 준비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한 할인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GS더프레시는 절임배추와 김치 사전 예약을 다음 달 초까지 연장하며, 홈플러스와 이마트는 김장 재료에 대한 추가 할인 이벤트를 진행 예정이다. 또한, 농협도 배추 가격을 최대 44% 할인하는 행사를 시작했다.
배춧값은 호남 지역에서의 본격적인 출하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추가적인 하락이 기대되고 있다. 정부는 김장 재료에 대해 최대 40%의 할인지원을 계속할 방침이지만, 이미 높은 가격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체감 비용을 얼마나 줄일 수 있을지는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