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협박, 지방의원들 노린 사이버 범죄 증가세
전국적으로 지방의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불법 합성물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경찰이 이에 대한 광역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은 17일 서울, 인천, 부산, 광주, 대구 등지의 기초의원 30명이 딥페이크 관련 협박 메일을 받고 이를 신고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피해자는 주로 20대에서 40대 남성 의원으로 확인되었다.
딥페이크 협박은 주로 이메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피해 의원들의 얼굴 사진이 불법적으로 합성된 여러 장의 이미지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미지 중 상당수는 나체의 남성이 여성과 함께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의원들이 수신한 메일 내용은 "범죄 증거를 보유하고 있다" 또는 "어떤 영향이 미칠지 알고 있을 것"처럼 협박의 성격을 띠고 있다.
발신자는 이러한 불법 합성물을 삭제해주는 대가로 암호화폐를 요구하며, 메일에 포함된 QR코드를 통해 접속하도록 유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사실은 사이버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며, 의회의 구성원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번 사건은 온라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여러 문제를 드러냅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의 이미지가 쉽게 변형되고 악용될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은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피해자들의 사례는 민주주의의 기반인 지방의회의 구성원들이 사이버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범죄는 사이버 보안과 법률 체계 간의 공백으로 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경찰의 신속한 수사는 중요한 첫걸음이지만, 근본적으로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법적 제도와 사회적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앞으로의 대응 방안과 정책 마련이 더욱 중요해지며, 유사한 사건의 발생을 막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