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EV3 스터디카’로 친환경 차량의 미래를 제시하다
기아가 최근 자체 개발한 ‘EV3 스터디카’를 공개하며 친환경 차량 비전을 제시했다. 이 스터디카는 버려지는 자원과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차량의 내·외장 부품을 설계한 모델로, 글로벌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작됐다. 현대차와 기아의 AVP 본부 기초소재연구센터가 주관한 프로젝트로, 재활용 플라스틱과 바이오 소재를 이용하여 기존 EV3 차량의 부품 일부를 대체했다.
특히, 기아는 이 스터디카 제작을 위해 22개의 재활용 및 천연 소재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들은 기존 EV3의 69개 주요 부품에 적용되었다. 차량의 부품 중 재활용 플라스틱은 ‘Car-to-Car’ 방식으로 재활용되었으며, 이는 폐차에서 회수된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새로운 부품으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이다. 이렇게 재탄생된 플라스틱은 범퍼와 프렁크, 도어 트림 등 다양한 부품에 활용되었다.
또한, 차량의 내장재는 비식용 천연 소재인 ‘애플 스킨’과 ‘버섯 폐배지 기반 레더’가 사용되었다. 애플 스킨은 사과 폐기물을 활용한 재료로, 스티어링 휠과 콘솔에 적용되었으며, 버섯 폐배지 기반 레더는 버섯 농가에서 발생하는 폐기로 만들어져 무선 충전 패드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소재 사용은 기존 가죽을 대체하며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차량 외관 부품인 루프와 가니쉬에는 천연 섬유와 바이오 폴리머로 구성된 복합재(NFRP) 제조 기술이 적용되어 저탄소 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이 기술은 에너지 절약에 도움을 주며,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을 지향한다. 기아 관계자는 EV3 스터디카가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이며, 향후 차량 소재의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 저탄소 및 재활용 소재 기술 개발을 지속할 것임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아의 접근 방식이 자동차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재활용과 친환경 소재의 활용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앞으로도 기아와 같은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개발을 통해 친환경 솔루션을 모색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