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 속 경제적 부담 커져, 부업 활성화로 생존 모색
최근 발표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높은 물가와 금리로 인해 1인 가구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수도권 및 광역시에 거주하는 25~5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54.8%의 1인 가구가 부수입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의 42.0%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부업을 하는 이들의 주요 이유로는 여유 자금 마련(38.7%), 시간적 여유 확보(18.7%), 생활비 부족(13.2%) 등이 지목되었다. 특히 앱을 통한 광고 시청 및 임무 수행을 포함한 '앱테크' 부업은 42.1%를 차지하며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780만원으로, 월 소득의 약 40.8%가 주거비와 식비, 여가비 등으로 지출되고 있다. 대출 상환에 소득의 12.6%, 저축에 30.3%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생활비와 대출 상환의 비중은 주목할 만큼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여유 자금 비중은 20.1%에서 16.2%로 감소하여 생활 여건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는 하루 평균 1.8끼의 식사를 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의 2.2끼에서 감소한 수치다. 또한, 금융 자산 구성에서는 유동성 자산이 40.1%로 가장 높고, 예·적금이 36.2%를 차지하였다. 대출 보유율은 54.9%에 달하며, 대출 잔액은 약 7,8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71.2%의 응답자가 1인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2022년의 68.2%보다 높아진 수치를 기록하였다.
1인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20·30대 여성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1인 가구가 신중한 소비와 빠른 변화에 적응하며 자생력을 키우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경향이 향후 1인 가구의 성장 및 사회적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해야 하며,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