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 속 경제적 어려움에도 삶의 만족도 상승세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24년 1인 가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수도권 및 광역시에 거주하며 독립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25세에서 59세 사이의 1인 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조사 결과,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으로 인한 생활비 부담이 심화되면서 1인 가구의 경제적 상황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중 54.8%가 부수입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의 42.0%에 비해 12.8%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부업을 하는 주된 이유로는 비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필요가 38.7%로 가장 높았으며, 시간적 여유가 18.7%, 생활비 부족이 13.2%로 뒤를 이었다. 특히 가장 많이 선택된 부업 형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시청 및 임무 수행 등으로, 전체 응답자의 42.1%가 이를 선택했다.
응답자의 연평균 소득은 3,78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월 소득의 약 40.8%를 주거비, 식비, 여가비 등 생활비로 지출하고 있으며, 대출 상환에 소득의 12.6%, 저축에 30.3%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생활비와 대출 상환의 비중은 각각 2.1%와 1.8% 증가하였으나 저축 비율은 변하지 않았다. 여유 자금의 비중은 20.1%에서 16.2%로 감소하여, 경제적 여유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1인 가구는 하루 평균 1.8끼의 식사를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022년의 평균 2.2끼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금융 자산 중 유동성 자산의 비중은 40.1%, 예·적금은 36.2%, 주식 및 기타 금융 상품은 15.0%로 집계되었다. 대출 보유율은 54.9%로 상승했으며, 대출 잔액은 9,900만원에서 7,800만원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1인 가구의 45.1%는 월세로 거주하고 있으며, 2년 전보다 월세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1인 가구의 71.2%가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다는 응답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는 2022년의 68.2%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특히 20대와 30대 여성의 만족도가 83.5%로 가장 높았다. 반면, 40대와 50대 남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과 개인의 경제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1인 가구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자 사는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1인 가구의 증가와 그들의 생활 만족도는 향후 사회적 변화와 정책 수립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