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부업 증가와 경제적 부담: 삶의 만족도는 여전히 높아
1인 가구의 생활비 부담이 증가하면서 부수입 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및 광역시에 거주하는 25세에서 59세 사이의 1인 가구 중 54.8%가 부업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2년 동일 조사에서 42.0%였던 것에 비해 12.8%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부업을 선택한 이유로는 여유 자금 마련이 38.7%, 시간적 여유가 18.7%, 생활비 부족이 13.2%로 조사됐다. 앱을 통해 광고를 시청하거나 과제를 수행하고 보상을 받는 '앱테크'가 42.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SNS 크리에이터 및 블로거가 6.2%, 서비스직 아르바이트는 3.8%를 기록했다. 이러한 변화는 고물가와 높아진 금리에 따른 생계 부담이 커졌음을 반영한다.
조사에 응답한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780만 원이며, 이 중 생활비로는 월 소득의 평균 40.8%를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의 12.6%는 대출 상환에, 30.3%는 저축에 사용하고 있으며, 생활비와 대출 상환의 비율은 각각 2.1%포인트, 1.8%포인트 증가했다. 저축 비율은 변화가 없었으며, 여유 자금 비율은 감소하여 20.1%에서 16.2%로 줄어들었다.
1인 가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금융 자산은 유동성 자산(40.1%)이며, 예·적금(36.2%), 주식 및 기타 투자 상품(15.0%)이 뒤를 이었다. 이는 안정형 자산의 비율이 7.8%포인트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 대출 보유율은 54.9%로 늘어났지만, 대출 잔액은 9,900만 원에서 7,800만 원으로 감소했다.
거주 형태를 살펴보면 1인 가구의 45.1%는 월세에 살고 있으며, 전세와 자가 거주자는 각각 30%와 21.8%를 차지했다. 월세 비율은 2년 전보다 8.9%포인트 증가했지만, 자가와 전세 비율은 각각 6.2%포인트와 2.1%포인트 감소했다. 이러한 통계는 경제 환경이 악화된 가운데 주거 안정성이 더욱 위협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의 71.2%는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022년의 68.2%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20대와 30대 여성의 만족도가 83.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40대 및 50대 여성, 그리고 남성 순으로 만족도가 전달되고 있다. 이러한 만족도 증가는 빈곤과 경쟁이 심화된 사회에서 개인의 생활 방식을 새롭게 재조명하고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