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남녀공학 전환 논란 속 54억 원 피해 주장하며 학생 시위 계속
동덕여대는 최근 남녀공학 전환 추진에 대해 학생들이 강력히 반발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이 사건으로 인한 피해 금액이 최대 54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학교 측은 15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공지를 통해 피해 금액이 외부 업체의 추정에 따른 것임을 밝혔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24억 4434만 원에서 최대 54억 4434만 원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피해 금액에는 학생들의 시위로 인해 취소된 취업박람회 주관 업체의 손해배상 청구 약 3억 3000여만 원뿐만 아니라, 건물 보수 및 청소 비용, 그리고 추가적인 입시 경비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학교 측은 래커와 페인트 등으로 인한 건물 훼손이 심각하여, 복구 방법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현재로서는 법적 소송을 할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이민주 비대위원장은 재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하며, 모든 학생의 안전과 권익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외부 단체들이 시위에 참여하고 있으며, 일부 학생들이 폭력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체 학생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동덕여대 총학생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학교 측의 불통을 지적하며,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 태도가 문제라고 주장했다. 총학생회는 학교가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학생들을 겁박하는 모습에 실망감을 표명하며 시위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는 대학교가 사회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관리하고 소통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 학생들은 이제 단순한 수업과 학업을 넘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학교 측은 이를 수용하거나 충분히 대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 이는 단순히 학교 내부의 문제를 넘어 교육 기관의 사회적 역할과 연관된 중요한 이슈로, 향후 더 많은 논의와 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