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5주 연속 상승, 소비자 부담 가중 속 불확실한 전망
국내 주유소의 기름값이 최근 5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11월 둘째 주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이 리터당 1629.1원을 기록하며 직전 주 대비 15.8원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지역의 경우, 평균 휘발유 가격이 1700원을 넘어 1702.5원을 기록하며 13.9원 상승했다. 반면 대구에서는 평균 가격이 1598.7원이었으나, 직전 주 대비 18.4원 상승하여 1600원에 가까워졌다. 가장 저렴한 가격의 주유소는 알뜰주유소로, 평균 가격은 1602원이었다. 경유는 리터당 1459.5원으로 17.8원 상승하였다.
이번 기름값 상승은 국제유가 하락과는 상반된 양상을 띠고 있다. 최근 국제유가는 미국 달러 강화와 OPEC의 세계 석유 수요 전망 하향 등의 요인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두바이유는 배럴당 71.7달러로 직전 주 대비 2.1달러 내렸고, 국제 휘발유와 경유 가격도 각각 77.1달러와 87.9달러로 하강했다. 일반적으로 국제 유가는 국내 주유소 기름값에 2~3주 정도 지연되어 반영되기 때문에, 현재의 기름값 상승세는 단기적인 요인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는 다음 주까지는 유류세 환원으로 인한 국내 제품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유가의 하락과 강달러 지속으로 이달 말부터는 상승폭이 둔화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기름값 상승은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들은 생활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를 주로 사용하는 가정이나 운수업체는 더욱 더 큰 압박을 받고 있다. 또한, 기름값 변동은 물가 상승과 연계되어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정책 당국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기름값 변화는 에너지 시장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재차 확인시켜 준다. 국제 정세, 환율 변동, 국내 소비 패턴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어서, 향후 기름값 흐름을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움직임을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하며,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