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회의원, 세계 최고 학력 수준 기록
한국 국회의원의 약 3분의 1이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의회 의원 중에서 가장 높은 학력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이 사실은 영국의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논문을 통해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는 97개국에서 2015년부터 2017년 사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한 정치인의 학력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논문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가 200만 명이 넘는 56개국 중에서 국회의원 박사학위 소지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전체 국회의원 중 박사학위, 석사학위, 학사학위 소지자가 각각 비슷한 비율로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다음으로는 우크라이나, 타이완, 슬로베니아, 몽골,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 등이 높은 박사학위 소지 비율을 기록했지만 이들 국가의 의원 중 박사학위를 가진 의원 비율은 4분의 1을 넘지 않았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는 석사학위를 가진 의원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이는 정치적 경력에 학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을 뒷받침합니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독립 이후 대부분의 역대 대통령이 박사학위를 소지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현재 대통령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제외하면, 다른 모든 대통령이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반면, 미국 의회의 경우 박사학위 소지자는 적지만, 석사학위를 가진 의원이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등의 나라에서는 중등학교 학력의 의원 비율이 4분의 1에 이른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예를 들어, 영국 하원의장인 린지 호일은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고, 이탈리아의 마테오 살비니 부총리는 대학을 중퇴했습니다.
전반적으로 97개국 평균으로 보면, 의원의 78%가 학사 학위 이상을 취득했으며, 그 중 40%가 석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정치입문 경로가 크게 변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의 데이터가 현재의 정치 현실을 반영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각국의 정치 환경과 의원들의 배경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학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