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러시아 쿠르스크에 통제 센터 설치…우크라이나전쟁에 미치는 영향은?
북한군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통제 관리 센터를 설치했으며, 이곳에 북한 장성급 7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는 최근 미국의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이 내용을 전했다. 그는 북한군과의 충돌이 이미 발생했으며, 북한군 장교들로 구성된 센터가 쿠르스크 지역에 존재한다고 밝혔다.
포노마렌코 대사는 북한군 제93 특수부대 여단이 쿠르스크주 레치사 마을 서쪽 1.5㎞ 지점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부대에는 제1대대와 제3대대, 그리고 72명의 장교를 포함한 총 876명의 군인이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쿠르스크 지역에 1만1000명의 북한군이 있으며, 이 숫자가 최대 1만5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북한군은 이 지역에서 현대전을 경험하며 2~3개월 주기로 순환 교체되면, 연간 최대 10만 명이 배출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포노마렌코 대사는 북한군의 참전이 전쟁의 근본적인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겠지만, 우크라이나 군에게는 분명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한국 측과의 협력을 통해 조만간 한국을 방문하는 대표단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측은 한국에 미사일 방어 체계와 레이더 시스템, 그리고 미사일 및 드론 공격 방어 장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요청은 우크라이나 군의 전투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북한군의 해명이나 참전 여부에 대한 논의가 군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외교적인 측면에서도 복잡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북한군의 참여는 지역 안보 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한국과의 방산 협력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