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서밋서 윤석열 대통령, AI와 제조업 통합 촉구하며 새로운 규범 제안
윤석열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페루 리마 국립대극장에서 열린 APEC CEO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의 중요성과 제조업과 인공지능(AI) 결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PEC 국가들이 전 세계 제조업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와 제조업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APEC AI 표준 포럼'의 창설을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연설에서 AI가 기업 경쟁력 및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이러한 AI 혁신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게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은 디지털 권리장전과 AI 안전연구소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아태 지역의 AI 안전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 그는 APEC 정상회의에서 '연결(Connect)', '혁신(Innovate)', '번영(Prosper)'이라는 세 가지 중점 과제를 제시했다. 연결의 측면에서는 공급망 안정화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한국이 의장국으로 맡고 있는 IPEF 공급망 위기대응 네트워크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규범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국이 참여한 디지털통상협정(DEPA)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번영 관련해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 해결을 선결 과제로 제시하며, 내년 APEC 계기에 정부,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무탄소에너지 서밋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수소와 원자력,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은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내년 APEC CEO 서밋의 경주 개최를 소개하고 경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의 기조연설에 앞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APEC CEO 서밋 의장직을 인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