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회의원, 세계 최고 학력 보유 국가로 부상
전 세계의 국회의원 중 한국 국회의원의 학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영국 이코노미스트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한국 국회의원 중 약 3분의 1이 박사학위를 보유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재임했던 97개국의 국회의원들의 학력을 분석한 논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박사학위 소지 비율이 200만 이상 인구를 가진 국가 중에서 한국이 1위를 차지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한국 국회의원들의 학력은 박사, 석사, 학사로 각각 3분의 1 정도의 비율을 보였으며, 뒤를 이어 우크라이나, 대만, 슬로베니아, 몽골,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 등이 박사학위를 가진 의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들에서도 박사학위를 가진 의원의 비율은 4분의 1을 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는 석사학위를 가진 의원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의원 대다수가 박사 또는 석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었다. 논문에서는 학위가 정치적 입문에 큰 도움이 되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우크라이나의 모든 대통령이 박사학위 소유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과는 반대로 미국 의회에서는 박사학위를 가진 의원이 적고, 3분의 2 이상이 석사학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중등학교 학력을 가진 의원의 비율이 4분의 1에 달할 정도로 높아, 학력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의원들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린지 호일 영국 하원의장은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고, 마테오 살비니 이탈리아 부총리는 대학을 중퇴한 경우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97개국 평균적으로 의원의 약 78%가 학사 학위 이상을 취득했으며, 40%는 석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이코노미스트는 "정권이 바뀌어도 정치 입문 경로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며 현재의 정치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통계는 각국의 정치적 환경과 학력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