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트럼프 트레이드 실현과 연준 불확실성에 급락
뉴욕 증시에서 주요 주가지수들이 급락했다. 최근 '트럼프 트레이드'의 차익 실현 욕구와 더불어,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불확실성, 예상치를 초과한 소비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가 하락을 이끌었다.
15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5.87포인트(0.70%) 하락한 43,444.99로 마감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8.55포인트(1.32%) 떨어진 5,870.62, 나스닥종합지수는 427.53포인트(2.24%) 급락한 18,680.12에 종료됐다. 그동안 아시아와 유럽 증시가 하락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는 약한 흐름으로 버텼지만 최근 차익 실현 욕구와 연준 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겹치면서 하락세로 전환됐다.
연준 의장인 제롬 파월의 정책 불확실성이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는 현재 경제 여건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보스턴 연준 총재와 시카고 연준 총재도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언급하며, 금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을 경우 인하 속도를 늦추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의 소비 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뜨거운 소비가 미국 경제와 고용이 과도한 금리 인하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신호로 해석됐다. 따라서 연준이 금리를 내릴 명분이 약화되며, 금리 동결 혹은 더 느린 인하 속도가 예상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 툴에 의하면, 12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이 상승했다.
주요 기술기업은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테슬라만 소폭 상승했지만,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는 각각 4% 이상 떨어졌고, 엔비디아는 반도체 및 인공지능 관련 주가의 급락에 영향을 받았다. 업종별로도 금융과 부동산, 유틸리티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하며, 특히 기술주와 의료 제약 분야가 큰 타격을 입었다.
주식 시장의 이러한 변동성은 새로운 행정부의 정책 변경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으며, 단기적인 미시적 변동성이 예상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향후 경제 데이터와 연준의 정책 방향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